| ||||
![]() |
![]()
|
|
![]() |
단순히 사칙 연산만 잘해서는 올해부터 달라지는 초등학교 수학, 일명 스토리텔링 수학을 감당하기 어렵다. 아들을 ‘수학 공신’으로 만든 엄마 임미성 씨에게 아이의 수학 호감도 높이는 방법을 들었다. |
![]() |
두 아이를 명문대에 보낸 임미성(53) 씨는 남부러울 것 없는 엄마다. 아들 김용균 씨는 대통령 장학생으로 서울대 수리과학부를 거쳐 경제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고, 딸 윤지 씨는 연세대 생화학과에 다닌다. 그가 가정에서의 엄마표 수학 놀이 비법을 담은 ‘수학의 신 엄마가 만든다(유아 편)’를 펴냈다. 2008년 ‘수학의 신 엄마가 만든다’, 2009년 ‘수학의 신 엄마가 만든다(초등 고학년 편)’에 이은 세 번째 책이다. 2013년부터 개정되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핵심은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이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도입되는 스토리텔링 수학은 실생활과 연계해서 생각하는 문제가 늘어나기에 기존의 요약정리, 암기식 공부로는 대처하기 어렵다. 영유아 때부터 엄마의 교육 방향과 역할이 아이의 인생을 좌우한다고 믿는 임씨로부터 스토리텔링 수학 공부 노하우를 들었다. 집에서도 거리에서도 쉽게 접하는 수학 ‘너지(nudge)’란 ‘옆구리를 슬쩍 찌른다’는 뜻으로 ‘강요하지 않고도 상대에게서 원하는 선택을 이끌어내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하루하루 놀이를 통해 수학에 재미를 붙인 덕에 초등학교에 들어간 아이에게 수학은 딱딱하고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아, 옛날에 내가 했던 그 놀이”였다고. “실생활과 연계된 모든 것이 교육 도구이고 환경이에요. 아이와 블록 놀이를 할 때도 ‘하나’ ‘둘’ 입으로 소리 내며 건네주고, 딸기 한 팩을 사서 먹으면서도 한 줄에 몇 개씩 몇 줄이 있는지 살펴보는 식으로 자연스럽게 수학에 흥미를 느끼게 하는 게 중요해요. ‘지금부터 공부 시간이야’라고 따로 정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생활하며 이야기를 나누는 거죠.” 임씨는 아이가 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기본을 다지는 시기가 유아기라는 생각에 어릴 때부터 다양한 영역의 책을 고루 읽혔다. 그는 두 아이가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일주일에 한 번은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려왔다. “덧셈, 뺄셈을 잘하는 아이는 수학을 잘하지만 고학년이 될수록 응용 문제나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를 푸는 데 한계를 느끼죠. 이때부터는 계산력뿐만 아니라 추론력, 종합하는 능력, 분석력, 단순화 능력, 개념을 이해하는 능력, 사고력 등이 필요해요. 이런 능력을 기르는 데 책 읽기만 한 것이 없어요. 그래서 아이에게 동시와 동요, 전래동화와 디즈니 동화, 과학 이야기, 위인전을 부지런히 읽혔어요. 책을 살 때는 내용이 좋은지, 그림이나 색상이 시각적 부담을 주지는 않는지, 어휘나 표현이 적절한지 등을 따져봤죠. 아이가 입학하기 전에 문제집 한 권 더 풀게 하는 것보다 손잡고 도서관 한 번 더 가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 그의 책에는 값비싼 교육 도구 없이도 할 수 있는 수학 놀이가 가득하다. 나무젓가락 한 통이면 젓가락을 산가지 삼아 아이와 셈 놀이를 하며 십진법을 익힐 수 있다. 이면지와 펜만 있으면 학습지가 따로 필요 없다. 이면지에 사과와 포도 같은 과일을 두 개씩 그려두면 같은 짝을 찾는 선긋기, 짝짓기 놀이가 완성된다. 채소와 칼, 스탬프가 있으면 초등학교 고학년 때 배우는 회전체의 원리를 쉽게 익힐 수 있다. “회전체를 가로로 잘랐을 때 원이 된다는 건 물체가 회전했다는 증거거든요. 회전체와 비슷한 건 냉장고를 뒤지면 나오는 오이와 당근, 비트 같은 흔한 채소들이죠. 이걸로 채소 도장을 만드는 거예요. 종이에 잉크를 묻혀 찍어서 어떤 모양인지 살펴보고, 썰어서 나오는 원 모양의 단면을 보여주면서 회전체를 가로로 자르면 어떤 모양이 나오는지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죠. 방울토마토는 세로로 자르든 가로로 자르든 항상 원이 나오는데, 그건 방울토마토가 오이나 당근과 달리 ‘구’ 모양이기 때문이죠.” 이동 중에 즐길 수 있는 놀이도 알려줬다. “차를 타고 가다가 보이는 간판들로 끝말잇기를 하고, 자동차 번호판을 가지고 덧셈과 뺄셈을 할 수도 있어요. 자동차 번호판 네 자리를 두 자리씩 끊어서 더해보기, 약수를 찾아보기, 그런 건 꼭 차 안이 아니라 길을 걸어가다가도 쉽게 할 수 있는 놀이죠.” 아이의 집중력을 높이는 데 추천하는 건 미로 찾기와 숨은그림찾기, 그리고 퍼즐이다. “조각 퍼즐과 멘사 퍼즐같이 사고력을 요하는 퍼즐 맞추기를 했어요. 스도쿠도 많이 했죠. 퍼즐할 때는 누가 빨리 퍼즐을 찾는지, 답을 빨리 내는지 아이와 내기를 해요. 아이가 유치원 마칠 때까지 가장 많이 가지고 논 장난감 중 하나는 소마 큐브였어요. 소마 큐브, 매직 큐브, 스네이크 큐브는 공간 지각 능력과 창의성을 길러줘요. 단, 하다 안 돼서 팽개치거나 처음부터 매뉴얼을 보고 따라 만드는 건 바람직하지 않아요. 매뉴얼을 보는 순간 아이가 사고를 멈추고, 문제를 쉽게 해결하는 방법만 연구하게 되거든요.” ◆ 놀이로 미리 하는 수학 공부 물건 따라 그리기 아이들이 한창 그리기를 할 때는 정교함이 부족해 동그라미, 세모, 네모를 제대로 그리기 어렵다. 하지만 물체를 놓고 따라가며 그리면 형태도 갖춰지고 밑면이 어떤 모양인지 알 수 있다. 어떤 것이 더 무거울까 양팔 저울은 집에서 쓰는 굵은 철사로 된 옷걸이에 달력을 다 뜯어내고 남은 대를 이용한다. 달력의 대 양 끝에 굵은 실을 늘어뜨린 후 빨래집게를 매달면 끝. 비교하고 싶은 물건을 양쪽에 매달면 무거운 쪽으로 대가 기운다. 뒤돌아 앉아서 같은 모양으로 블록 쌓기 두 사람이 블록을 똑같이 나누어 가진 뒤 뒤돌아 앉는다. 아이가 블록을 끼우면서 자신이 어떻게 끼우는지 설명하면 엄마는 아이 설명대로 따라 끼우는 방법과, 엄마나 아이가 블록을 어떻게 쌓는지 묻고 다 쌓은 뒤 서로 비교해보는 방법이 있다. 질문하고 답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말하는 표현력이 길러진다. 숫자를 이용한 로봇 그림 숫자를 이용해서 무엇을 그릴 수 있을까? 자기 얼굴을 그릴 수도 있고, 2자를 이용해 오리를 그릴 수도, 눈과 코를 그릴 수도 있다. 8자를 이용해서는 눈사람, 3자를 이용해서는 귀, 6자를 이용해서는 팔다리를 그릴 수 있다.
|
'여성동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민이 엄마 파이팅!!!^^ 外 (0) | 2013.03.01 |
---|---|
‘러키백’에 열광하는 사람들 (0) | 2013.03.01 |
다운증후군 발레리나 백지윤&어머니 이명희 (0) | 2013.03.01 |
어느새 데뷔 20년, 털털한 바이올린 여제 사라 장과의 솔직담백 토크 (0) | 2013.03.01 |
섹시한 엄마 배우로 돌아온 문소리 (0) | 201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