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늘도 먹방 찍는다” 문화&라이프[라이프] “나는 오늘도 먹방 찍는다”보여주기 위해 먹는 사람들…예쁜 음식 집착-정통성보다 트렌드 추종 우려 입력 2015.12.23 / 1017호(p46~47) #1 “오빠, 잠깐만. 아직 먹지 마.” 이지은(29) 씨는 남자친구와 식당에 갈 때면 늘 휴대전화 카메라로 음식 사진을 찍는다. #먹스타그.. 주간동아 2015.12.23
응답하라 1988 다시 보자 운동권 사회[사회] 응답하라 1988 다시 보자 운동권“그땐 그랬지”가 아니라 “그땐 왜 그랬을까” 시대의 아픔 재조명 아쉬워 입력 2015.12.02 / 1015호(p30~32) #1 1988년 서울대 수학교육학과 재학생인 성보라는 집회 간부로 활동하며 학생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방송에 얼굴이 나올 정도로 알려.. 주간동아 2015.12.02
한민족 생존과 투쟁의 역사 문화&라이프[구희언 기자의 1막2장] 한민족 생존과 투쟁의 역사뮤지컬 ‘아리랑’ 입력 2015.08.17 / 1001호(p77~77) 일제 폭압에 맞선 민족의 끈질긴 투쟁과 생존 역사를 이야기한 조정래 작가의 장편소설 ‘아리랑’. 이 대하소설에 연극 ‘푸르른 날에’ 연출가 고선웅의 색이 덧입혀지면 어.. ㄴ공연칼럼 2015.08.17
“대중은 정체 모를수록 열광, 가수는 세상에 나올 용기 얻어” 피플[문화] “대중은 정체 모를수록 열광, 가수는 세상에 나올 용기 얻어”인터뷰 l ‘복면가왕’ 숨은 주인공 가면 제작 김유안 입력 2015.07.24 / 998호(p68~69) 가릴수록 진짜가 보인다? MBC 예능프로그램 ‘일밤-복면가왕’은 우리가 얼마나 보이는 것에 사로잡혀 있는지 깨닫게 한다. 복면으.. 주간동아 2015.07.24
호화 캐스팅, ‘오페라의 유령’과 차별화 성공? 문화&라이프[구희언 기자의 1막2장] 호화 캐스팅, ‘오페라의 유령’과 차별화 성공?뮤지컬 ‘팬텀’ 입력 2015.06.22 / 993호(p78~78) 뮤지컬 ‘팬텀’이 개막 전부터 팬과 뮤지컬계 관계자들에게 주목받았던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초대형 히트작인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과 원작이 같다는 .. ㄴ공연칼럼 2015.06.22
아, 흘러가버린 봄날이여 문화&라이프[구희언 기자의 1막2장] 아, 흘러가버린 봄날이여악극 ‘봄날은 간다’ 입력 2015.06.08 / 991호(p76~76) 2003년 초연한 창작극 ‘봄날은 간다’는 기구하고 박복한 팔자를 가진 한 여인의 삶을 그린다. 배경은 황해도 어느 작은 마을 풍덕. 가위질 못지않은 입담으로 동네 제일가는 노.. ㄴ공연칼럼 2015.06.08
캔버스에 붉게 펼쳐진 화가의 번뇌 문화&라이프[구희언 기자의 1막2장] 캔버스에 붉게 펼쳐진 화가의 번뇌연극 ‘레드’ 입력 2015.05.26 / 989호(p76~76) ‘색면 추상’이라 부르는 추상표현주의의 선구자 마크 로스코의 삶과 말을 무대에 재현한 2인극 ‘레드’가 2011년에 이어 다시 국내 관객을 찾았다. 올해는 ‘마크 로스코展.. ㄴ공연칼럼 2015.05.26
무대에 환생한 시대의 영웅 문화&라이프[구희언 기자의 1막2장] 무대에 환생한 시대의 영웅뮤지컬 ‘영웅’ 입력 2015.05.11 / 987호(p75~75) 난세에는 영웅이 필요하다. 국내 영화 역대 흥행 1위를 차지한 ‘명량’과 최근 800만 관객을 돌파한 외화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공통점은 영웅들의 이야기를 그렸.. ㄴ공연칼럼 2015.05.11
‘어벤져스’ 경제효과? ‘없다!’ 경제[경제] ‘어벤져스’ 경제효과? ‘없다!’우리끼리만 아는 영화 속 서울…폭파되는 구시가지 장면, 해외 관광객에게 먹힐까 입력 2015.05.04 / 986호(p56~57) ‘프로도 경제효과’라는 말이 있다. 세계적으로 흥행한 영화 ‘반지의 제왕’이 뉴질랜드에 미친 파급효과를 일컫는 말이다. 지.. 주간동아 2015.05.04
문 너머 동화 세상이 열린다면 문화&라이프[구희언 기자의 1막2장] 문 너머 동화 세상이 열린다면뮤지컬 ‘쓰루 더 도어’ 입력 2015.05.04 / 986호(p78~78) 지금의 결혼 생활, 행복한가. 고려대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페미니스트 이코노믹스’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결혼에 대한 만족도는 여성의 경우 2년 후 사라지.. ㄴ공연칼럼 2015.05.04